본문 바로가기

정신의학31

반응성 애착 장애의 개념과 원인, 치료 전략 1. 반응성 애착 장애(RAD)의 개념과 진단 기준반응성 애착 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RAD)는 아동기가 중요하게 여기는 양육자와의 안정적인 관계가 결여될 때 생길 수 있는 정신적 문제입니다. DSM-5에서는 이 장애를 외상과 스트레스와 관련된 문제 중 하나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주로 생후 초기부터 부모의 반복적인 돌봄 부족을 겪은 아이들에게서 나타납니다. 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매우 수동적이며,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고, 다른 사람들에게 접근하거나 반응하는 능력이 매우 떨어집니다. 진단 기준에 따르면, 아이들은 일관된 돌봄 부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정서적으로 위축되고 애정 표현이 부족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이 왜곡되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특히 이 장애는 다른.. 2025. 7. 31.
급성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 및 임상적 개입 1. 급성 스트레스 장애의 정의와 특성급성 스트레스 장애(ASD: Acute Stress Disorder)는 생명에 위협이 되거나 심각한 신체적 피해를 줄 수 있는 트라우마 사건을 겪고 난 뒤, 3일에서 1개월 사이에 나타나는 심리적 반응을 의미합니다. 이 장애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비슷하지만, 증상의 지속 기간이 짧고 조기에 개입하면 만성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급성 스트레스 장애의 주요 증상은 재경험, 부정적인 감정, 해리, 회피, 과각성의 다섯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진단을 위해서는 이 중 최소 9가지 이상의 증상이 필요합니다. 특히 재경험 증상은 외상이 있었던 기억이 자주 떠오르거나, 꿈에서 그 장면이 반복되면서 일상에 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증.. 2025. 7. 3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알아 보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DSM-5의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장애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용어를 잠시 정리하면, *외상(트라우마) : 외부로부터 주어진 충격적인 사건에 의해서 입은 심리적 상처로 지진, 해일, 전쟁, 건물 붕괴, 치명적 교통사고, 살인 및 강간, 납치 등의 사건 들로 인한 심리적 상처를 말합니다.*일회적 외상 : 단 한번의 충격적 사건으로 입게된 심리적 외상으로 자연재해, 기술적 재해, 폭력적 범죄, 관계상실이 들 수 있습니다.*반복적 외상 : 반복적으로 주어진 충격에 의한 심리적 상처로 아동학대, 성폭행 등 상습적인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 등입니다.이외에 인간 외적인 외상. 대인관계적 외상, 애착 외.. 2025. 7. 31.
피부벗기기 장애의 정의 및 심리적 기전 1. 피부벗기기장애란 무엇인가?피부벗기기장애는 자신의 피부를 계속 벗겨내는 충동을 제어하지 못하는 강박 행동을 의미합니다. 이 장애는 DSM-5-TR에서 강박 장애 및 관련장애로 분류되었으며, 환자는 손, 얼굴, 팔과 같은 접근 가능한 부위를 반복적으로 긁거나 벗겨내어 피부가 다치거나 피가 나거나 하여 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습관이나 미용 문제와 다르게,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고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이 장애는 피부를 벗기기 전 불안이나 긴장감을 느끼고, 벗기고 나서 잠깐 안도감을 느끼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런 증상은 주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나타나며, 무의식적 또는 의식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부벗기기장애는 대개 청소년기나 젊은 성인기 초반에 시작되며, 여성에게서 더.. 2025. 7. 30.
모발 뽑기 장애의 개념과 진단, 치료 1. 모발 뽑기 장애의 개념과 진단 기준 모발 뽑기 장애(Trichotillomania)는 자주 자신의 털을 뽑는 행동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정신적인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장애는 강박장애와 관련된 범주에 포함됩니다. 이 질환은 단순한 버릇이나 일시적인 스트레스의 반응이 아니라, 일상적인 활동에 방해가 되고 심리적인 고통을 일으킬 정도로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DSM-5에서는 반복적으로 머리카락을 뽑아 탈모가 생기고, 이러한 행위를 줄이거나 멈추려는 시도가 있어도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에 진단을 내린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모발을 뽑는 위치는 머리 외에도 눈썹, 속눈썹, 겨드랑이와 같은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충동적으로 일어나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2025. 7. 30.
저장장애의 원인 및 대처 전략 1. 저장장애의 정의와 특성 저장장애(Hoarding Disorder)는 필요 없는 물건을 지나치게 모으고 버리지 못하는 강박적인 행동을 보이는 정신적인 문제입니다. 이런 행동은 단순히 물건을 모으는 것과는 달리, 쓸모가 없거나 가치가 없는 물건을 버릴 때 극심한 괴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집안은 좁고 지저분하게 되어 일상적인 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됩니다. 정신건강 진단 기준인 DSM-5에서는 저장장애를 강박장애 및 관련장애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저장장애는 대개 서서히 진행되며, 보통 청소년기나 성인 초기에 시작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악화됩니다. 저장하는 물건은 일반적인 생활용품, 문서, 의류, 음식 등 다양하며, '언젠가 필요할지도 모른다'는 비현실적인 기대를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 2025. 7. 30.